
과일을 구매하고 집에서 보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여러 과일 중 사과는 에틸렌 생성량이 많아서 다른 과일과 보관하면 안 된다고 하는데요.
에틸렌이 많이 생성되는 과일과 채소의 보관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에틸렌이란?
과일이나 채소가 익으면서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식물의 숙성과 노화를 촉진시키는 호르몬입니다.
수확 후에도 식물의 기공을 통해서 가스로 배출된다고 하네요.

에틸렌 생성이 많은 과일. 채소는?
에틸렌은 농산물을 빠르고 균일하게 숙성시켜 줘요.
사과는 에틸렌 생성량이 많은 대표적인 과일입니다.
그밖에 복숭아, 자두, 살구, 바나나 등이 있어요.

에틸렌에 민감한 과일과 채소는?
수확 후 에틸렌 생성량이 많은 과일. 채소를
에틸렌에 민감한 과일. 채소를 같이 보관하면
성숙과 노화를 촉진하여 품질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또한 엽록소 분해등으로 채소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어요.
아스파라거스의 경우 질겨지고 당근은 쓴맛이 증가할 수가 있습니다.

과일 채소 보관 시 유의사항
에틸렌의 특성을 활용하면 품질은 유지하고
저장성을 높일 수 있어요.
1. 종류별 과일 분리 보관
사과, 복숭아 등 에틸렌 발생 많은 과일은 되도록 다른 과일 및 채소와 따로 보관!
2. 상처 입은 과일 골라내기
상처 입거나 병충해 걸린 과일은 스트레스로 인해 에틸렌 발생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관 전에 골라내기!
3. 개별 포장하여 냉장보관
공기를 차단시키는 랩 등으로 개별포장하여 냉장보관!
4. 덜 익은 작물 익히기
덜 익은 바나나, 떫은 감은 직물의 성숙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익히고 보관!

지금까지 사과를 다른 과일과 보관하면 안 되는 이유와
보관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제까지 아무 생각 없이 과일과 채소를 보관하였는데
이런 것을 참고해 보고 바로 실천에 옮겨야겠네요!
'생활정보 >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해물질 정보 주석 (0) | 2023.11.02 |
---|---|
유해물질 정보 크롬 (0) | 2023.10.27 |
식약처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10문 10답 (0) | 2023.10.24 |
학교 주변 음식점, 위생관리 집중 점검 대비하세요 (0) | 2023.08.31 |
카페 등 매장에서 일회용품과 다회용품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0) | 2023.07.26 |
안녕하세요 다양한 일상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