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산 방사능 식품으로 걱정이 이만저만 아닐 텐데요.
식약처에서 그러한 걱정을 해소하고자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에 관하여 10문 10답을 내놓았다고 해요.
한 번 알아볼까요?
본 포스팅은 식약처 발행글을 참고하였습니다!
Q1. 후쿠시마산 수산물이 수입될 수 있나요?
없습니다.
후쿠시마를 포함해
인근 8개현의 모든 수산물 수입을
원천 금지하고 있다고 하네요!
Q2. 국내에 유통된 수산물이 방사능 검사
기준치를 초과한 사례가 있나요?
단 한 건도 없습니다.
2011년 일본의 원전 사고 이후 지금까지
국내 생산 및 유통단계의 수산물 76,000 건에 대한
방사능 검사 결과 모든 건이 적합하였다고 하네요!
Q3. 우리나라의 식품 중 방사능
관리 기준은 어떤가요?
매우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요.
100 Bq/kg 기준을 정할 때 방사능 오염지역으로부터
수입하는 지역 특성 등을 보수적으로 감안하여
안전한 수치로 정하였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방사능 기준은 CODEX가 권고하는
1,000 Bq/kg 보다 10배 엄격한 수준입니다.
Q4. 일본산 수산물에서 미량이라도
방사능 물질이 나오면?
추가핵종 검사증명서를 요구해
사실상 국내에 반입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밀검사 결과, 방사능 물질이 미량(0.5 Bq/kg)이라도
검출되면 CODEX가 권고하는
17개 추가핵종 검사증명서를 요구하게 됩니다.
* 추가핵종 검사증명서 : 스트론튬, 플루토늄, 삼중수소 등
증명서 발급에는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돼
일본산 수산물은 사실상 국내에 반입되지 않습니다.
Q5. 추가핵종 검사증명서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추가핵종 검사증명서는 식품에 오염될 수 있는
방사능 물질 17개에 대해
CODEX가 정한 권고기준에 부합하여야 합니다.
Q6.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3단계 중
1단계 서류검사란?
1단계 서류검사는 수입자가
수입신고서를 작성하여 식약처에 제출하면
검사관은 신고서와 구비서류가 적정한지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를 말한다고 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하게 확인하는 것은
수입 금지 지역인 8개현에서 생산된 수산물은 아닌지
아니라면 그 밖의 어느 지역에서 생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수입신고서에 적혀 있는 어종, 어획지역, 가공. 포장지역 등
정보가 일본 정부가 발행한 생산지 증명서에 기재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도 꼼꼼하게 확인합니다.
생산지 증명서의 진위가 의심되는 경우
주한일본대사관을 통해
일본 정부의 정상발급 여부를 재확인한다고 하네요!
Q7.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3단계 중
2단계 현장검사란?
2단계 현장검사는 수산물을 보관하고 있는 창고에서
검사관이 보관된 수산물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는 단계를 말합니다.
CODEX가 권고하고 있는 난수표 방식에 따라
수산물 검체를 채취하여
외관, 색깔, 활력도, 선도, 유사수산물 혼입 여부 등을
오감을 이용해 관능검사 합니다.
Q8.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3단계 중
2단계 정밀검사란?
3단계 정밀검사는 수산물 속에
방사능 물질이 있는지
있다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현장에서 채취한 수산물을 작은 토막으로 잘라
분쇄기에 넣어 매우 고르게 분쇄합니다.
이어 고순도 게르마늄 감마핵종 검출기를 이용해
10,000초 동안 방사능 물질을 측정한다고 합니다.
Q9. 국내 수산물 유통 단계에서
방사능 검사는 어떻게 하나요?
6개 지방 식약청과 17개 시. 도가
마트, 시장 등 유통 판매 중인
고등어, 오징어, 명태, 새우 등
다소비 수산물을 수거해
방사능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1년부터 2023년 9월 27일까지
유통단계 수산물 검사 건수는
49,502 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Q10. 왜 세슘과 요오드만 검사하나요?
방사능 사고 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 중 방사선을
가장 많이 방출하는 세슘과 요오드를
식품 중 대표 오염 지표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방사능 사고 시 다양한 핵종이 방출되며
이중 감마 핵종이 가장 많이 방출됩니다.
이제까지 식약처에서 발행한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10문 10답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잘 모르고 있었는데
정말 식약처가 꼼꼼하게
방사능 검사를 하고 있어서 놀랬습니다.
이렇게 계속 정밀하게 모니터링한다면
앞으로도 안전한 수산물이
유통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생활정보 >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해물질 정보 크롬 (0) | 2023.10.27 |
---|---|
사과를 다른 과일과 함께 보관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3.10.25 |
학교 주변 음식점, 위생관리 집중 점검 대비하세요 (0) | 2023.08.31 |
카페 등 매장에서 일회용품과 다회용품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0) | 2023.07.26 |
탄산음료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3.07.26 |
안녕하세요 다양한 일상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