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롬(크로뮴)이란?
크롬(크로뮴)은 지각에서 약 21번째로 풍부한 원소로 청백색 광택의 단단하지만 잘 깨지며, 쉽게 변색하지 않는 금속입니다. 다른 원소와 결합하여 2~6가 크롬산화물로 존재하며 3가와 6가크롬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바위, 토양, 화산재 등에서 철과 결합한 3가 크롬인 크롬철석(Chromite, FeCr2O4) 형태로 발견됩니다.
부식에 강한 금속크롬은 스테인리스 강철의 부식 및 변색을 방지하며,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어 장식용 도금에 사용됩니다. 크롬은 85%가 합금재료로 쓰이고 나머지는 화학제품, 내화물 및 주조 산업에서 사용됩니다. 금속 표면도금, 가죽가공, 환원제, 염료나 안료, 진균제, 합성루비 제조 등 그 쓰임새가 다양합니다.
3가크롬은 당과 지질의 대사에 필요한 미량영양소로 많은 영양보조제로 미량 첨가되 기도 하지만, 산업공정 중에 인위적으로 생성되는 6가크롬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6가크롬은 체내에서 3가크롬으로 환원되지만, 환원되기 전에 신장, 간, 혈액세포를 산화시켜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크롬은 몸속에 어떻게 들어오나요?
크롬은 가공육, 현미 시리얼 제품, 도정하지 않은 곡류, 동물 장기, 난황, 버섯, 브로콜리, 견과류, 향신료 등에 3가크롬 상태로 들어 있습니다.
산업폐기물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 또는 식수와 대기를 통해 6가크롬 일부가 체내로 들어 올 수 있습니다.
화학제조공장, 천연가스·석유·석탄을 연소하는 산업공정, 금속이나 가죽 가공, 용접, 색소 생산 등이 6가크롬의 가장 큰 배출원입니다. 6가크롬에 노출되는 가장 흔한 경로는 가죽 가공등에 사용되는 크론산염, 중크롬산염의 생산 및 취급과정에서 이들을 함유하는 먼지 를 흡입하는 것입니다.
3가크롬보다 6가크롬이 더 잘 흡수되며, 크롬의 흡수율은 화학물의 용해도(물), 식이형태, 음이온(염)에 따라 다릅니다. 폐를 통한 흡입이 위장을 통한 흡수보다 큰 것으로 추정되며, 손상된 피부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침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크롬의 체내 흡수율은 낮아 대부분 대변으로 배설됩니다. 일부소장에서 흡수되나 소변을 통해 배설되며, 일부는 머리카락과 땀으로 배출됩니다.
크롬은 인체에 들어오면 뼈, 비장, 신장, 간 등에 축적된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식품 속 크롬의 주요 형태는 3가크롬입니다. 간혹 4가크롬으로 오염되어 있어도 위산에 의해 쉽게 3가크롬으로 전환됩니다. 음용수 등을 통해 체내에 유입된 6가크롬은 침과 위산에 의해 대부분 3가크롬으로 환원되나 섭취량의 10~20%는 6가크롬의 형태로 세포내에 침투합니다.
체내에서 6가크롬이 3가크롬으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DNA와 결합하여 유전독성 및 돌연 변이의 원인이 되며, 신장, 간, 혈액 세포를 산화시켜 손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6가크롬은 인체발암물질(그룹 1), 금속크롬 및 3가크롬은 발암물질로 분류할 수 없는 물질(그룹 3)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6가크롬은 독성이 커서, 급성 경구독성은 3가크롬에 비해 10배 이상 높아 동물의 고환 에서 변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6가크롬이 3가크롬에 비해 피부알레르기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큽니다.
3가크롬은 필수 영양소는 아니나 포유동물에서 당과 지질대사에 관여하며, 인슐린과 함께 혈당을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2020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건강기능식품 재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크롬에 대해 '체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에 기여한다'는 기능성 내용과 당뇨병이 있는 경우 전문가와 상담할 것'이라는 섭취 주의사항을 신설하였습니다.
3가크롬과 금속크롬은 독성이 없어 암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2016년 아르곤 국립 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에서 인슐린 조절, 2형 당뇨병 치료 및 체중조절 에 사용되는 크롬 식이보충제를 고용량으로 장기 투여할 경우, 지방 세포 내에서 3가 크롬이 산화되어 발암성 크롬으로 변환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안전관리는 이렇게 하고 있어요!
크롬은 얼마나 검출되나요?
크롬 노출을 줄이는 생활습관
'생활정보 >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회용품 사용규제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2) | 2023.11.07 |
---|---|
유해물질 정보 주석 (0) | 2023.11.02 |
사과를 다른 과일과 함께 보관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3.10.25 |
식약처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10문 10답 (0) | 2023.10.24 |
학교 주변 음식점, 위생관리 집중 점검 대비하세요 (0) | 2023.08.31 |
안녕하세요 다양한 일상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