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석이란?
주석은 무르고 쉽게 늘어나며 녹는점이 낮아
가공이 쉬운 은백색의 금속입니다.
공기 중에서 산화하여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부식이나 변색 방지 효과가 뛰어나요.
토양, 대기, 물 등 주변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며,
순수한 형태의 주석은 자연에서 얻을 수 없어
대부분 산화주석(SnO,) 형태의 광물을 가공하여 얻습니다.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 사용된 금속 중 하나인 주석은
합금이나 화합물의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대표적인 합금으로 청동, 땜납, 백랍 등이 있습니다.
주석은 철, 아연 등의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이나,
식품의 갈변 방지를 위한 과일,
채소통조림 내부 코팅에 쓰입니다.
또한 선박의 바닥에 해양생물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페인드(방오도료), 폴리염화비닐(PVC) 용기나
파이프 등의 안정제, 살균제, 방부제 등에도 사용돼요~
주석은 몸에 어떻게 들어오나요?
채소, 과일 통조림 등을 개봉한 후 통조림째 보관하면
코팅된 주석이 산소와 접촉하여
담겨 있는 식품으로 들어갈 수 있어요.
이 때 주석의 용출 정도는 공기와의 접촉,
식품의 pH, 보관시간 및 온도,
식품첨가물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 소비자가 주석에 노출되는 경로는
캔제품에 담긴 식품이나 음료 섭취가 대부분입니다.
대기, 토양, 물 등을 통해서도 체내로 들어올 수 있어요.
주석은 얼마나 검출되나요?
주석의 주요 노출 경로는
캔 식품이며 전체 노출량의 약 98%에 해당합니다.
2015년 식약처가 국내 대형마트에서 구매한
통조림, 캔제품 등의 무기주석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농산가공식품류에서 주로 검출 되었어요.
식품군별 검출량은 농산가공식품류 > 수산가공식품류 > 식용유지류 > 음료류, 주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개별 품목으로는 농산가공식품류의 과일, 채소가공품류, 곡류가공품, 두류가공품, 수산가공식품류의 기타 수산물가공품, 식용유지류의 참기름, 주류의 맥주, 음료류의 다류 등입니다.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식품 등을 통해 섭취한 주석은
체내에 쉽게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대소변으로 배설돼요.
주석은 산소, 염소, 황 등의 다른 화학물질과 결합한 무기주석화합물과 탄소와 결합한 형태의 유기주석화합물이 있습니다. 통조림 내부 코팅 등에 사용되는 무기주석화합물을 다량으로 섭취하게 되면, 복통, 빈혈, 간과 신장 기능 이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생활정보 >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 중의 알레르기 성분은 무엇이 있나요? (0) | 2023.11.14 |
---|---|
일회용품 사용규제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2) | 2023.11.07 |
유해물질 정보 크롬 (0) | 2023.10.27 |
사과를 다른 과일과 함께 보관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3.10.25 |
식약처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10문 10답 (0) | 2023.10.24 |
안녕하세요 다양한 일상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